플라세보 효과와 노세보 효과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다. 플라세보 효과는 '만족시키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됐다. 의학용어로 '위약(가짜약) 효과'라고도 한다. 가짜약이 진짜 약처럼 효능이 있다는 이론으로 달리 말하면 인간의 심리상태에 따라 병의 깊이가 결정된다는 말이다. 어릴 적 배가 아플 때면 어머니께서 약이라고 주던 사탕이 생각난다. 이 플라세보 효과를 노린 것이라 생각되지만 실제 그런 이론을 알고 하신 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예전부터 사용해왔던 효과적인 방법이 란 것에는 틀림없는 거 같다. 우리나라 말 중에 '모르면 약, 알면 독'이란 말이 있다. 이 말도 플레세보효과와 같은 의미를 지닌 말이 아닌가 싶다. 플라세보 효과는 프랑스의 에밀 쿠에라라는 약사가 처음 발견했다. 그는 이 효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