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는 역사가 오래된 우리나라 술이다. 어원은 술을 빚고 거를 때 맑은술만 걸러내지 않고 "막 거른"데서 유래되었다. 막걸리를 만들어 먹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 때에는 막걸리용 누룩을 배꽃이 필 때에 만든다고 하여 이화주라고도 하였고 맑지 않고 탁하다고 해서 막걸리를 탁주라고도 불렀다. 일반 백성들이 많이 마셨으며 식량 대용이나 갈증 해소에 농부들이 애용해 농주라고도 불렀다. 삼국사기에선 막걸리를 미온주로 소개한 기록이 있고 고려 때의 고려도경에는 ”왕이나 귀족들은 맵쌀로 만든 청주를 마시는 반면 백성들은 맛이 짙고 빛깔이 짙은 술을 마신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 국가의 큰 행사를 위해 사찰 등에서 대량으로 빚었던 술이 조선시대로 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