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음식으로 잘 알려진 수제비는 고려시대에 조금의 기록만 있을 뿐 그 기록이 적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고증하기 어렵다고 한다. 다만 그 유래를 중국에서 530∼550년 사이에 제작된 '제민요술' 속에 ‘박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걸로 일부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제비가 서민의 음식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예전엔 밀의 생산이 많지 않았던 걸로 봤을 때 보다 귀한 음식으로 취급받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름이 '수제비가'가 된 데에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손으로 밀가루 반죽을 만들어서 먹는다는 의미를 담아 '수접'이라고 부른 것이 이후 수제비가 된 것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밀의 수확량이 적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의 수제비는 ‘운두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