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비의 유래와 기원

반응형

서민 음식으로 잘 알려진 수제비는 고려시대에 조금의 기록만 있을 뿐 그 기록이 적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고증하기 어렵다고 한다. 다만 그 유래를 중국에서 530∼550년 사이에 제작된 '제민요술' 속에 ‘박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걸로 일부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제비가 서민의 음식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예전엔 밀의 생산이 많지 않았던 걸로 봤을 때 보다 귀한 음식으로 취급받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름이 '수제비가'가 된 데에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손으로 밀가루 반죽을 만들어서 먹는다는 의미를 담아 '수접'이라고 부른 것이 이후 수제비가 된 것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밀의 수확량이 적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의 수제비는 ‘운두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우리나라의 옛날 음식책에는 지금은 생소하지만 나화, 낭화, 탁면, 착면, 창면 등이 나온다. ‘나화’란 거의가 녹두 녹말을 말갛게 익힌 것이고, 이를 오미자 국물에 띄운 것을 탁면 또는 창면이라고 한다. '훈몽자회' 에는 ‘박탁’이란 말이 나오면서 ‘나화 박’, ‘나화 탁’이라 하였는데, 한자 사전에선 ‘수제비 박’, ‘수제비 탁’이라고 하니 나화란 수제비를 가리킨다. 북한의 『자랑스러운 민족음식』에는 수제비류의 음식으로 밀가루 수제비, 강냉잇가루뜨더 국, 찬밀제비국, 가재탕 등이 소개되어 있다.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스킷과 쿠키의 기원과 역사  (0) 2021.03.16
드레스와 코르셋의 어원과 기원  (0) 2021.03.14
감자탕의 기원과 유래  (0) 2020.12.28
김치의 기원과 유래  (0) 2020.12.12
곱창의 어원과 뜻  (0) 2020.12.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