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와 팥죽에 어울리는 궁합은 설탕? 소금?

반응형

감자와 팥죽은 취향에 따라 설탕을 뿌려 먹는 ‘설탕파’와 소금을 뿌려 먹는 ‘소금파’로 나뉜다. 더 보태 토마토도 있다. 순전히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영양학적으로 보면 궁합이 따로 있다.

감자
설탕파는 설탕의 단맛이 감자의 단맛을 높인다는 이유로, 소금파는 소금의 짠맛이 감자의 감칠맛을 더한다는 이유로 선택한다. 영양소 측면에서는, 소금이 설탕보다 낫다는 결론이다. 감자를 설탕과 먹을 경우 감자 속 비타민B1이 설탕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소비돼 없어진다. 반면 소금과 먹으면 감자의 칼륨이 소금의 나트륨 성분과 만나 몸속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팥죽
팥죽은 먹기 전에 설탕으로 간을 하기도, 소금으로 간을 하기도 한다. 설탕은 팥죽의 깊은 단맛을 강화하고 소금은 팥죽의 기본적인 단맛 외에 짠맛을 더하기 위해서다. 한 가지를 꼭 넣어야 한다면 설탕보다 소금을 약간 넣는 것이 더 낫다. 팥죽에 설탕을 많이 넣으면 팥 속의 사포닌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사포닌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면역력을 높여주는 효능이 있다.


토마토
토마토는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을 뿌려 먹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설탕은 토마토의 영양소를 파괴할 수 있어 함께 먹지 않는 게 좋다. 설탕을 뿌리면 토마토의 비타민B 흡수율이 떨어지고 혈당을 높인다. 반면 소금을 뿌리면 단맛을 강화하면서 토마토의 효능도 높일 수 있다. 소금의 나트륨이 토마토의 칼륨과 균형을 이뤄 세포 활동을 돕는다. 또 소금은 토마토 겉에 얇은 막을 씌워 공기를 일부 차단해, 비타민C가 산화하는 것을 막는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설탕 하루 섭취 권장량은 25g, 소금 하루 섭취 권장량은 5g이다. 맛을 위해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것은 괜찮지만 권장량 이상 먹지 않는 게 좋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취해소에 좋은 음식  (0) 2022.12.20
석류 효능  (0) 2022.12.19
약에 유통기한이 있다?!  (0) 2022.12.13
수술전 매니큐어를 지우는 이유  (0) 2022.12.11
황달에 따른 의심 증상  (0) 2022.11.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