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의 어원과 유래

반응형

곰팡이의 종류는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몸에 이로운 것부터 해로운 것까지. 그런데 여기서 의문은 왜 곰팡이라고 이름 지어졌는 가다. 사전에서 찾아봐도 ‘왜’ 곰팡이인지는 나와있지 않다. 단순하게 ‘구조가 간단한 하등 균류의 총칭으로, 동식물에 기생하며 어둡고 습기가 있을 때 음식물이나 옷이나 가구 등에 생겨나는 것으로 그 종류가 많다’라고만 되어 있을 뿐이다.


그래서 그 유래를 찾아봤다. 우리말 유래 사전에서 알 수 있다.

"곰팡이"는 가끔 "곰팡 나다"처럼 "곰팡"으로도 사용되기도 하는데, "팡이"라는 말은 그리 흔히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다. 또한, "곰팡이"와 동일하게 사용된 단어가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은 "곰탕"이다. 먹는 음식의 이름이 아니고, 지금도 함경도 방언에서는 "곰팡이"를 "곰탕"이라고 하고 있다.

"곰팡이"는 그 원래의 형태가 "곰"이었다. 그리고 이 "곰"이란 단어는 늘 "곰 피다, 곰이 피다" 등으로 쓰이었다. 그러면 "팡이"는 무엇일까?

"곰탕"이란 단어도 "곰탕 피다"처럼 사용되었던 단어이다. 예를 든다면 "장마에 곰탕 피다"처럼 쓰이었던 것이지요. 이때의 "탕"은 또 무엇일까?

"곰"은 "곰팡이"란 뜻의 단어인데, "탕"은 그 어원을 알 수 없는 것이고, "팡이"는 "피다"의 어간 "피-"에 작은 것을 나타내는 접미사 "-앙이"가 붙은 것이다.

개운하게 이해가 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 유래를 알 수 있어 궁금증이 조금은 해소가 됐다. 그리고 한 가지 느낀 것은 우리말은 어렵다는 거다.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깡패의 어원  (1) 2022.12.06
깍쟁이의 기원과 유래  (1) 2022.12.02
기침의 어원과 유래  (1) 2022.11.27
'감쪽같다'는 말의 어원  (0) 2021.12.10
'파경'과 '철면피'의 어원과 유래  (0) 2021.1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