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쪽같다'는 말의 어원
- 기원과 유래
- 2021. 12. 10.
반응형
‘감쪽같다’는 꾸민 일이나 고친 물건이 조금도 흠집이 없다 는 말이다. 원래 곶감의 쪽을 먹는 것과 같이 날쌔게 한다는 데서 나온 말이라 한다. 곶감의 쪽은 달고 맛이 있기 때문에 누가 와서 빼앗아 먹거나 나누어 달라고 할까 봐 빨리 먹을 뿐만 아니라 말끔히 흔적도 없이 다 먹어 치운다는 뜻이다. 이런 뜻이 번져서 현재의 뜻처럼 일을 빨리 하거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처리할 때 감쪽같다는 말이 쓰이게 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건 설일뿐이다.
다른 설도 있다. 어떤 원로 국어학자가 주장한 ‘여성의 은밀한 신체 부위 쪽과 같다’에서 온 것이라는 설이다. 이러한 설은 여성의 성기가 부부관계를 한 후에도 별다른 흔적이 없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여성의 성기 모양을 빗대어 ‘감씨’라는 말은 있지만 현재 ‘여성’을 뜻하는 ‘감’이나 여성의 은밀한 부위를 지시하는 ‘쪽’이라는 단어는 일상어를 만드는 데 입에 올리기 민망한 여성의 주요 부위가 관련된 단어를 이용했다고는 보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정설로 알려진 감쪽같다의 뜻은 이렇다. 어원은 감나무 가지를 ‘고욤나무’에 접붙이고 끈으로 칭칭 감아두면 고욤나무와 감나무가 밀착되어 접을 붙인 표시가 나지 않으므로 ‘감접’을 붙인 것처럼 흔적이 없는 상태를 ‘감접과 같다’고 표현했다고 한다. 따라서 ‘감접과 같다’가 ‘감쪽같다’로 쓰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팡이의 어원과 유래 (0) | 2022.12.01 |
---|---|
기침의 어원과 유래 (1) | 2022.11.27 |
'파경'과 '철면피'의 어원과 유래 (0) | 2021.12.09 |
남자옷 - 여자옷의 단추 위치가 다른 이유 (0) | 2021.04.03 |
핫도그와 케첩의 유래 (feat. 소시지의 어원) (0) | 202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