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의 어원과 유래
- 기원과 유래
- 2022. 11. 27.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사래가 들거나 감기에 걸렸을 때 목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해 기침을 하지만 그 뜻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다. 당연스레 목에서 나오면 기침이라고 한다.
기침은 사전에서 보면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정확한 유래나 어원은 나와있지 않다. 한자어에는 없으며 순수 우리말에서 그 유래가 있다. 아래는 ‘우리말 이야기’라는 책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기침"은 옛말 "깇다"에서 나온 말이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이 "깇다"란 단어는 "기침하다"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 "깇다"는 동족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로서, 즉 "울음을 울다, 잠을 자다, 꿈을 꾸다"처럼 "기침을 깇다"로 사용되던 것이었다. 물론 "울음을 울다, 꿈을 꾸다, 잠을 자다"에서 "울음, 꿈, 잠" 없이 "울다, 꾸다, 자다" 등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깇다"도 목적어 없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기침"은 "깇다"의 어간 "깇-"에 명사형 접미사 "-으"나 "-아(아래 아)"가 붙어서 "기츰"이나 "기참(아래 아)"으로 사용되다가, 그 음이 변화하여 "기침"이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기츰을 깇다"로 사용되다가 17세기에서부터 "기참(아래 아) 하(아래 아)다" 등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과 같이 "기침하다"나 "기침을 하다" 등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깍쟁이의 기원과 유래 (1) | 2022.12.02 |
---|---|
곰팡이의 어원과 유래 (0) | 2022.12.01 |
'감쪽같다'는 말의 어원 (0) | 2021.12.10 |
'파경'과 '철면피'의 어원과 유래 (0) | 2021.12.09 |
남자옷 - 여자옷의 단추 위치가 다른 이유 (0) | 202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