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유해한가? 유익한가?

반응형

우리가 대형 마트나 일반 식품점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에 'GMO'가 표시된 것을 많이 봤을 것이다.

이 'GMO'가 표시된 식품은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가공해 만든 식품 들인 것이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은 일반적으로 생산량 증대 또는 유통 · 가공상의 편의를 위하여 유전공학기술을 이용, 기존의 육종방법으로는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을 말한다.

비타민이 들어 있는 황금 쌀, 항암 효과가 있는 보라색 토마토, 기존 옥수수보다 2배 이상 수확량이 많은 슈퍼 옥수 등이 실제 존재하는 유전자 변형 기술을 통해 새로 만들어진 품종들이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최초로 상업적 목적으로 판매가 허용된 것은 1994년 미국 칼젠 사가 개발한 ‘Flavr Savr’라는 상표의 토마토이다.

1996년 미국 몬산토사가 개발한 ‘Round-Up Ready Soybean’이라는 상표명의 대두와 스위스 노바티스사가 개발한 병충해에 내성을 가지도록 개발된 ‘Btmaize’라는 상표의 옥수수가 본격적으로 상품화되었다.

그에 따라환경단체나 소비자단체가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주목하기 시작했고 나라마다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생겼다.

미국의 경우 슈퍼마켓에서 팔리는 식품의 절반 이상이 유전자 변형 농산물인데 비해 서유럽 국가의 환경단체들은 GMO 곡물을 '프랑켄슈타인 식품'이라고 부르며 기피한다.

 

그럼 왜 환경단체들은 그렇게 유전자 변형식품에 반대하는 걸까?

이유는 인체에 미치게 될 부정적인 영향 때문이다.

아직까지 특별한 피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안정성이 확실이 입증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긍정적일 수 없는 거다.

몇몇 동물 실험에서는 이따 금식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는 보고도 있어 더욱 그렇다.

또 다른 이유는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은 기본적으로 병충해나 잡초에 강한 종자들이기 때문에 농약사용량이 적어 환경오염을 방지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기존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느 수준까지를 유전자 변형 기술로 보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용어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용어 자체도 아직 통일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식품의약품 안전청은 GMO를 ‘유전자 재조합 식품’으로 명명하고 ‘식량 증산, 영양성분의 개선, 저장성 향상 및 병충해 내성 향상 등을 위하여 생물공학 기법으로 처리한 생물체로부터 유래한 식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농림부에서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은 분명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다.

세계 각지에서는 이미 널리 쓰이고 있고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기도 해서 무작정 금지하는 건 옳지 않다고 본다.

좀 더 연구를 통해 인간에게 해가 없는 안전한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만들어내는 게 앞으로 연구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가 아닌가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