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가가다’에서 ‘장가’의 유래
- 기원과 유래
- 2023. 7. 5.
반응형
장가는 '남자가 혼인을 하다'의 뜻이다. 한자어 풀이 그대로 남자가 장가(丈家 : 장인, 장모의 집)에 들어간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에도 고구려 시대에는 모계중심 사회의 유습을 받아 결혼을 하게 되면 남자가 신부집에서 일을 해주고 첫 아이를 낳으면 비로소 독립해 나가도록 했었다. 지금은 이러한 풍습이 없어졌지만 말에는 아직도 그 유습의 흔적이 남아 있고, 또 구식 결혼 후에 신랑이 사흘동안 신부집에 묵는 것도 그 유습의 잔재이다.

출처 - 우리말 유래 사전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각의 기원과 유래 (0) | 2023.06.23 |
---|---|
도깨비의 어원과 유래 (1) | 2023.05.19 |
동냥의 어원과 유래 (1) | 2023.05.17 |
딴따라의 어원과 유래 (3) | 2023.05.12 |
돈의 기원과 유래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