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각의 기원과 유래
- 기원과 유래
- 2023. 6. 23.
국어에서는 남녀를 나타내는 말이 무척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그 중에서 혼인할 나이가 된 성인 남녀를 지칭할 때에는 `처녀` `총각`이란 한자어를 사용한다. 그 중에서 `처녀`는 그 단어 속에 `여`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지만, 아마도 `총각`은 그 어원을 짐작하긴 어려울 것이다.
한자인 `총`은 지금은 `다 총` 등으로 `모두`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짤 총` 등으로 쓰이던 것이다. `각`은 `뿔 각`이다. 중국에서나 우리 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머리를 `총각`이라고 했었다. 이런 머리를 한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다. 그래서 그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고 한 것이다. 옛날에는 어린 소년들에게도 `총각!`하고 불렀다.
여기에서 `더벅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생겼났다. 어떤 사람은 `떡거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쓰는데, 이때의 `떡거머리`가 무엇을 나타내는 말인지는 알 수 없다. 어느 사전에도 `떡거머리`란 단어는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 연유해서 생긴 단어가 또 있다. 그것은 `총각김치`이다. `총각김치`는 손가락 굵기만한 어린 무우를 무우청째로 여러 얌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 그 어린 무우가 마치 `총각`의 머리와 같은 모습을 닮아서 생긴 단어이다. 그런데 처녀들은 그 `총각김치`란 단어 자체나 또는 실제의 김치를 기피하곤 했었습니다. 그 총각김치가 마치 총각의 생식기를 형상하는 것에서 생긴 것으로 착각해서 이다.
출처 - 우리말 어원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가가다’에서 ‘장가’의 유래 (0) | 2023.07.05 |
---|---|
도깨비의 어원과 유래 (1) | 2023.05.19 |
동냥의 어원과 유래 (1) | 2023.05.17 |
딴따라의 어원과 유래 (3) | 2023.05.12 |
돈의 기원과 유래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