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스와 코르셋의 어원과 기원
- 기원과 유래
- 2021. 3. 14.
반응형
드레스의 어원은 '똑바른'이라는 라틴어 디렉투스(directus)이다. 이단어가 고대 프랑스어와 합쳐지면서 '정돈하다'를 뜻하는 드레세(dresser)로 바뀌었다. 이후 영어로 들어가 드레스로 바뀌었고 '옷을 입는다'라는 의미를 가게 되었다. 계속 발전을 거듭하면서 점점 의미가 좁아졌고 처음의 '일렬로 줄을 세우고 정돈하다'의 의미에서 최종적으로 '정성껏 차려입은 옷'을 뜻하는 드레스가 되었다.
고전 영화나 드라마에서 볼수 있는 코르셋(corset)은 '몸통'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코르스(cros)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 코르셋은 남자도 착용하였는데 원래는 허리에 꼭 끼는 남녀 공용 조끼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다 점점 여성의 몸통을 조이는 옷을 가리키는 속옷이 되었다.
코르셋은 처음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이 프랑스로 유입되었다. 프랑스 궁정 여성들은 곧바로 이 코르셋을 착용하기 시작하였고 거기에 치마를 볼록하게 만드는 파딩게일이라는 틀을 착용했다. 이후 영국까지 퍼지게 되었다. 그리고 코르셋은 끈이 앞에 있으면 서민용, 뒤에 있으면 상류층용 이라고 한다.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콜릿의 기원과 역사 (0) | 2021.03.17 |
---|---|
비스킷과 쿠키의 기원과 역사 (0) | 2021.03.16 |
수제비의 유래와 기원 (0) | 2021.01.30 |
감자탕의 기원과 유래 (0) | 2020.12.28 |
김치의 기원과 유래 (0)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