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꾹질의 원인과 멈추는 방법
- 생활정보
- 2021. 3. 10.
딸꾹질은 폐 아래 있는 횡격막이 갑자기 수축해, 폐에 있던 공기가 나가려고 하면서 생기는 증상이다. 숨을 들이마실 때 열려 있어야 하는 성대가 폐에 있던 공기의 신호로 갑자기 닫히면서 ‘딸꾹’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딸꾹질을 하는 이유는 다양한데, 주로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었거나 술을 마셨거나 갑자기 추운 환경에 놓였을 때 잘 나타난다. 식사를 너무 빨리 먹거나 기침을 하거나 웃거나 술을 너무 많이 마셨을 때 나타나기도 한다.
딸꾹질을 멈추려면 유발 원인인 미주신경과 횡격막 신경에 자극을 줘야 한다. 미주신경은 심장, 폐, 소화관 등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하는 10번째 뇌신경이다.
위 두 신경에 자극을 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차가운 물을 빠르게 마시는 거다. 미주신경이 담당하는 식도가 자극돼 딸꾹질이 멈춘다. 얼음 씹어 먹기, 각설탕 삼키기, 레몬 먹기 등도 같은 원리로 효과가 있다. 직접적으로 비인두에 자극을 주는 방법도 있다. 혀를 잡아당기거나, 숟가락이나 칫솔같이 날카롭지 않은 물건을 이용해 혀 안쪽을 헛구역질이 날 때까지 자극하거나, 무릎을 당겨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이다.
눈 주변에 미주신경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눈을 손바닥으로 꾹 눌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흉부 압력을 높여 횡격막 경련을 멈추는 방법으로 코와 입을 손으로 막고 4~5회 숨을 내뱉는 ‘발살바 조작’도 효과가 있다. 딸꾹질은 불편하긴 하지만 건강에 이상을 주지는 않으며 보통 몇 분에서 몇 시간 안에 자연스럽게 없어진다. 하지만 48시간 이상 딸꾹질을 한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받아야 한다. 뇌졸중이나 뇌출혈에 의한 뇌손상, 뇌종양, 뇌염, 위·식도 역류, 식도탈장, 폐렴, 늑막염이나 복막염, 간염 등 각종 질환의 전조 증상일 수 있다.
가장 손쉽게 딸꾹질을 멈추려면 복압을 올리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평소 위장이 차고 잘 씹지 않으며 급하게 식사를 하는 사람은 딸꾹질을 자주 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는 소량씩 따뜻한 음식을 잘 씹어 먹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위가 차서 딸꾹질이 생길 경우는 따뜻한 물로 완화시킨다. 설탕 한 스푼이 딸꾹질을 멈추는데 효과가 있기도 하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에서 필요한 생활노하우 1 (0) | 2021.12.11 |
---|---|
배에서 나는 '꼬르륵'소리와 트림 (0) | 2021.03.12 |
한번 웃음이 나면 참지 못하는 이유 (0) | 2021.03.06 |
목주름 예방법 3가지 (0) | 2021.02.05 |
유통기한, 품질 유지기한,소비기한의 차이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