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님(denim)과 청바지(jeans)의 차이

반응형

우리가 평상시 일상복이나 작업복으로 많이 입는 옷 중에 하나가 데님(청바지)이다.

종류도 다양하고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아도 멋스럽게 입을 수 있다.

하지만 요즘엔 '데님'과 '진'을 구분이 없이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엔 미묘한 차이가 있다.

과거 '데님'과 '진'역사를 살펴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데님(denim)의 어원

데님(denim)은 프랑스에서 생겨난 말로 ‘님므(Nîmes)의 옷감’이라는 의미를 가진 ‘드 님므(de Nîmes)’에서 유래되었다.

'님'이라는 마을에서 세르주(serge)라는 두꺼운 능직 물(면)을 만들어었는데 데님은 이 능직 물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이처럼 옷 이름은 생산지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그 예로 럭비 선수가 입는 셔츠를 저지(jersey)는 채널 제도의 저지 섬에서 따온 것으로 섬의 어민들이 입고 있던 신축성 좋은 속옷 직물을 개량한 것이다.

그리고 진(jeans)이란 말은 최초로 생산된 곳인 프랑스 ‘젠느(Gênes)’에서 유래된 것이다. 

또 스코틀랜드의 트위드 강 주변 어민들이 즐겨 입던 작업복에서 따온 것이 트위드(tweed)이다.

데님(denim)의 역사

16세기 무렵에는 많은 선원들이 인도 뭄바이 인근에 있는 동가리에서 남색으로 염색한 두꺼운 면 원단을 구입하곤 했다.

선원들은 구입한 원단을 이탈리아로 가지고 돌아갔는데 이를 제노아 지역에서 새롭게 원단을 가공해서 프랑스로 수출을 했다.

제노아 시 새롭게 가공하여 만든 원단에 ‘블루 드 젠느(bleu de Gênes)’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블루진(blue jeans=청바지)의 어원일 것으로 추측한다.

 

이렇게 이탈리아에서 가공된 원단은 주로 프랑스의 님므(NÎmes)항을 통해서 수입됐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원단을 님므 항의 이름을 따서 그곳에서 생산된 직물이라는 의미로 ‘세르쥬 데 님므(serge de Nimes)’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하지만 문제가 하나 발생했는데 이것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직물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생산된 것이면 모두 ‘님므 산(de NÎmes)’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원산지가 불문명해 진 것이다.

역사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진(jeans)’이라 불리는 직물은 동일한 색상의 날줄과 씨줄로 만들고 ‘데님(denim)’이라 불리는 직물은 남색 실과 흰색 실을 날줄과 씨줄로 해서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렇게 해서 같은 데님이지만 직물 직조 방법과 사용하는 실의 색상에 따라 원산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최초의 미국식 청바지를 제작한 사람은 독일계 이민자인 레비 슈트라 우스이다.

슈트라우스는 처음 샌프란시스코에 직물점을 열었는데 그의 고객 중 제이콥 데이비스라는 재봉사에게 사업제안을 받게 된다.

사업 내용은 우연히 작업 바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바지에 구리 못으로 된 라벨을 부착했는데 사람들의 반응이 아주 좋았다며 이를 사업으로 제안한 것이다.

그렇게 해서 슈트라우스가 제안을 받아들였고 둘은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반응이 너무 좋아 결과는 성공적이었지만 작업복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캔버스 천이 올이 굵어 피부가 쓸려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데님을 이용해서 똑같은 바지를 만들었데 이때 사용한 직물이 데님이다.

이후에 진은 헐렁하고 일하기에 편하며, 주머니가 있는 스타일의 바지를 의미하게 되었고, 데님은 진을 만들기 위한 직물을 의미하는 것이 된것다.

 

한마디로 데님은 진을 만들기 위한 직물인 것이다.

그게 그거인 것 같지만 데님은 가공전의 직물인 거고 진은 이 직물을 이용해 만들어진 결과물인 것이다.

섞어 사용해도 크게 문제 될 건 없겠지만 그래도 역사를 알고 나면 뭔가 진이 새롭게 보일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