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태 심하면 생길 수 있는 질환 2가지

반응형

백태는 혀 표면에 있는 작은 돌기인 유두에 침, 박테리아, 세포 등이 붙어 생성된다. 보통 구강 위생 불량이나 흡연, 장기간 항생제 복용 등이 원인이다. 그런데 양치를 잘하는데도 백태가 유독 자주 낀다면 아래와 같은 구강 질환 때문일 수 있다.

구강건조증 : 백태와 함께 입안이 자주 마르는 증상이 있다면 구강건조증 때문일 수 있다. 구강건조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입안이 마르는 질환으로 혀 각질이 잘 없어지지 않거나, 백태가 쉽게 생기고 입속 점막이 창백해지면서 잘 달라붙고, 혀가 갈라져 보이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하면 제대로 음식을 씹고 삼키기도 어려워져 소화하거나 말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구강칸디다증 : 백태가 계속 확대된다면 구강칸디다증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구강칸디다증은 진균류인 입속 ‘칸디다’가 구강 점막에 증식하는 질환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만성질환자, 유아에게 잘 발생한다. 구강칸디다증으로 인해 발생한 백태는 점차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다 방치하면 구강 점막이 광범위한 백태로 뒤덮이게 된다. 이때 통증, 발적이 동반될 수 있고, 백태 밑 혀 점막이 짓무를 수도 있다.

백태제거 방법

백태를 없애기 위해 혀 클리너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치과 전문의들은 혀를 지나치게 세게 닦는 것은 좋지 않다고 조언한다.

설유두가 분포한 혀 가운데는 약간 흰 게 정상인데, 이마저 백태로 착각해 심하게 긁어내면 상처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삼출액(진물)이 나오고, 침이 오염돼 오히려 입 냄새가 심해진다.

혀는 강하게 닦지 않아도 된다. 일회용 종이 숟가락이 혀를 스친다는 느낌으로 부드럽게 긁어주면 된다. 양치 마무리 단계에서 혀 안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3~4회 쓸어내리면 된다. 이후 물로 입을 헹궈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