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머리가 알려주는 질병 신호

반응형

흰머리는 보통 노화에 의해 생기지만, 젊은 나이인 20~30대에서도 비교적 흔히 나타난다. 대개 40~50대에 생기기 시작하고, 머리카락 뿐 아니라 코털·눈썹·속눈썹 순서로 나타난다.

 

전문가들은 새치의 가장 큰 원인이 유전이라고 말한다. 새치를 유발하는 유전자는 그렇지 않은 유전자에 비해 우성인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에 새치가 생겼다면 가족 중에 비슷한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스트레스로 머리카락에 가야 할 영양소의 공급이 부족해지거나 멜라닌 색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해 새치가 생기기도 한다. 

새치가 난다고 노화가 빨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질병이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새치를 유발하는 질병은 당뇨, 갑상선계질환(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악성 빈혈, 백반증 등이 있다. 이런 질병들은 멜라닌 생성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거나 뇌하수체에 이상을 일으켜 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해 멜라닌 생성 세포에 혼란을 준다.

 

머리, 멜라닌 색소에 의해 착색이 원인인 경우
머리카락은 원래 흰색이다. 그런데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색소에 의해 착색되며 검은색으로 변한다. 모낭에 위치한 머리카락이 자라나면서 멜라닌이 주입되기 때문인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털뿌리의 멜라닌세포 수와 기능이 감소하면서 흰머리가 생긴다.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
흰머리가 드문드문 난다면 스트레스가 원인일 확률이 높다. 젊어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몸속에 활성화산소가 많아지면 이 활성산소가 색소 세포 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 또한 흰머리를 유발한다. 아드레날린은 두피에 있는 모근 주변의 혈관을 수축시켜 영양공급이 제대로 안 되고 멜라닌도 적게 만들어져 검은 머리 대신 흰머리가 나는 것이다. 또한, 과도한 다이어트 때문에 몸속 영양이 불균형해져도 모낭까지 영양이 잘 공급되지 않아 흰머리가 날 수 있다.

 

면역 체계 이상이 원인인 경우
몸의 면역체계가 과민하게 반응해 흰머리가 생길 수도 있다.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게재된 버밍엄 국립보건원·앨라배마대 공동연구에 의하면 몸에 침투한 바이러스의 공격이 선천적 면역을 억제하는 MITF 단백질 생성 유전자의 변이를 일으킨다고 한다. 새 머리카락이 자라날 때 모낭의 줄기세포가 멜라닌 세포로 분화해 머리카락의 색을 띤다. 그러나, 단백질이 과잉 면역반응을 일으켜 머리카락에 색소를 입히는 멜라닌 세포까지 줄며 흰머리가 생긴다. 따라서, 젊은층에서 짧은 기간 안에 갑자기 많아진 흰머리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갑상선 기능저하증, 악성빈혈, 백반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흰머리를 뽑으면 흰머리가 더 많이 난다설이 정설일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모낭에서 나오는 머리카락의 개수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흰머리를 뽑는다고 흰머리가 더 많이 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흰머리를 뽑은 자리에는 다시 흰머리가 난다. 흰머리는 모낭 세포가 노화하고 나이가 들면서 멜라닌 색소가 부족해서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흰머리를 뽑은 모낭에서 검은 머리가 나올 가능성은 적다.

그래도 흰머리를 계속 뽑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흰머리를 뽑다 보면 모낭이 손상되고, 모발이 자연스럽게 빠지고 자라나는 주기에 인위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모발의 수명과 모발주기가 반복되는 횟수는 평생 정해져 있는데, 흰머리를 반복적으로 뽑게 되면 그 자리에는 머리카락이 나지 않게 될 수 있다.

 

흰머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은 따로 없다. 빗이나 손가락으로 두피를 자주 마사지해주면 혈액 순환이 좋아져 흰머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철분이나 아연 등의 미네랄 성분이 든 식품이나 블랙 푸드를 챙겨 먹는 것도 좋다. 호두는 리놀레산 성분이 풍부해 모발의 형성을 도와주고, 검은 깨는 노화억제, 탈모 치료, 흰머리 예방의 효능이 있다. 검은콩은 머리카락 생성에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주고, 다시마는 머리카락의 주성분인 케라틴 형성에 도움이 된다. 흰머리에 좋은 음식으로는 모낭의 노화를 막는 항산화제 또는 항산화물질이 도움된다. 또, 쥐눈이콩(약콩)을 볶은 후 끓여 차처럼 자주 마시거나, 검은깨를 볶아서 먹는 것도 좋다. 콩으로 만든 두부, 두유 등의 식품도 두피를 건강하게 해준다. 한방에서는 흰머리 치료로 하수오를 이용한 차를 마시기도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