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위 뜻과 기원

반응형

한국처럼 살이 찐 것에 대해 예민할 정도로 반응하는 나라도 드물 것이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 살과의 전쟁 중이다.

TV에 나오는 연예인은 살찐 사람을 찾아볼 수 없으며 조금이라도 살이 찌면 온갖 악플과 비난을 받기 일쑤다.
그리고 사회생활, 일상생활 구분 없이 주변에 살찐 사람들에 대한 시선은 그렇게 좋지 않아 조금이라도 살이 찌게 되면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타의에 의해 다이어트를 시작하게 되는 사람들도 많다.

그렇게 해서 습관적으로 '나 오늘부터 다이어트할 거야', '나 다이어트 중이야'란 말은 거의 날마다 하다시피 하고 매번 실패한다.
이런 말을 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면 그건 아마도 '살찜'에 대한 공격을 우려한 방어적인 멘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너 살쪘다'는 말을 듣기 전에 미리 예방주사처럼 나 공격하지 마 말라는 의미의 중의적인 말처럼 말이다.

 

 

그런데 이런 다이어트(diet)는 본래 이런 의미가 아니라고 한다.

어원은 그리스어 디아 이타(diaita)로 뜻은 '의사가 처방한 대로의 생활방식'이었다.
이후 라틴어 다이에 타(diaeta)로 변형되었고, 고대 프랑스어에서는 디에떼(diete)로, 13세기에 들어 영어에서는 지금처럼 다이어트가 된 것이다.

 

과거 최초 의의 다이어트 의미는 '체중 감소나 건강 증진을 위한 식이요법'이었고, 13세기 영어에서는 '평소에 먹는 음식과 음료'라는 의미가 된 후 14세기부터는 '제한'이라는 의미가 더해져 '과식을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가 되었다.

지금처럼 체중을 줄이기 위해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닌 것이다.

그러니 본래의 다이어트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무작정 굶어서 극단적으로 체중감소보다는 건강하게 먹을걸 먹어가면서 과식을 줄이는 게 올바른 다이어트가 아닐까 생각한다.

반응형

'기원과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티켓의 기원과 유래  (0) 2020.07.24
소시지의 역사와 순대의 기원  (0) 2020.07.23
돈까스의 기원과 유래  (0) 2020.07.20
스팸(SPAM)의 기원과 유래  (0) 2020.07.18
호떡의 기원과 유래  (0) 2020.07.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