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와 토정비결의 의미

반응형

새해가 되면 누구나 한 번쯤 토정비결이나 사주풀이를 하러 철학관이나 유명한 점집을 찾는다. 나 역시도 한두어 번 가본 적이 있는데 그렇게 믿음이 가진 않는다. 좋은 얘기는 들으면 좋고 나쁜 얘기는 들으면 신경이 쓰인다. 그리고 평소에는 그냥 지나 칠일도 이러한 사주풀이나 토정비결과 연관 지어 생각하게 되어 더욱 피곤해질 뿐이다. 이제 하루 뒤면 2021년 새해가 밝는다. 무조건 맹신하기보다는 심심풀이로 본다 생각하고 보면 좋을 듯하다. 그리고 대략 어떤 식으로 사주풀이나 토정비결의 점괘가 나오는지 알고 가면 좋을 것 같아 조금 정리해봤다.

 

 

먼저 사주팔자는 세상 만물을 음과 양으로 나누는 음양론에,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로 나누는 5행론이 더해져 음양오행론으로 한 사람의 타고난 운명을 추론해보는 것으로 사주추명학이라고도 한다. 사주는 넉 '사'와 기둥 '주'의 한자가 결합된 단어이며 한자 뜻 그대로 네 개 기둥을 뜻한다. 4개의 기둥은 각각 태어난 년, 월, 일, 시 이렇게 4개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년, 월, 일, 시에 각각 10간과 12지를 한 글자씩 총 8글자를 부여한다. 이 천간의 4글자와 지지의 4글자를 보고 운세를 보는 것이 사주풀이다. 그 경우의 수를 따져보면 연월일시 각각 들어 갈 수 있는 경우의 수가 518,400가지나 된다. 또 대운의 변화를 고려할 경우 조합 가능한 경우의 수는 1000만 단위까지 급격히 늘어난다.

토정비결은  조선시대 중기에 토정 이지함이 썼다고 알려져 있지만, 학계에서는 아니라고 한다. 내용은 주역의 괘를 사용해서 새로운 한 해의 운세를 미리 점쳐보는 것이다. 태어난 연·월·일 세 가지로 육십갑자()를 이용하여 일년 동안의 신수를 열두 달별로 알아보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괘를 이용해 태어난 생년월일과 비교한 뒤 해당되는 괘를 찾아 풀이한다. 사주와 다른 점은 태어난 시간을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두 개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나의 운세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어떠한 사람들은 두 개의 점괘의 내용이 달라 모두 다 보는 사람도 있다. 경우의수만 따지만 사주팔자가 다양한 해석이 가능 하지만 점괘를 받아들이는 것에는 개인차가 있기에 둘 중에 하나만 봐도 될 거 같다. 굳이 비슷한 점을 두 번이나 보는 건 의미가 없는거 같다.

 

점은 해석하기 나름이라는 말이 있다. 또 과학적인 해석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통계학과 관련된 학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다시 말하면 같은 시간에 태어나 같은 사주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들은 모두 같은 인생을 살게 되는 황당한 해석이 나오기도 하는 건 이 때문이다. 그러니 무조건 맹신하지 말고 스스로 인생계획 잘 세워 사는것이 사주풀이나 토정비결보다 더 정확한 미래가 아닐까 싶다.

반응형

댓글